top of page
북클럽 나란
Search


오브진
Nov 10, 20223 min read
하이젠베르크 - 부분과 전체 감상문
영문으로는 “물리학과 철학” 혹은 “물리학과 그 넘어에” 라고 변역된 이 책은 노벨물리학 수상자인 하이젠베르크의 자서전입니다. 하지만 독일어 원문 제목을 직역한 “부분과 전체”라는 제목이 너무 근사하고 잘어울린다고 생각되는데요. 왜냐하면...
582 views0 comments


바람
Aug 5, 20222 min read
설국 - 부질없는 일들에 대한 관대함
인생의 부질없는 면면들을 들춰내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내 인생 속에의 부질없었던 일들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어쩌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밥벌이 수단으로 살아가는 현실에 비추어보면, 전공했던 지질학에 대한 대학 시절의 그 넘치던 열정은 모두다...
154 views3 comments


바람
Apr 6, 20223 min read
자유함을 위한 일원론의 재고찰
이 책의 시작은 매우 인상적이다. 프롤로그에 나오는 코끼리의 영혼을 파괴하는 파잔 의식. 고도로 사회화된 현대 인류 사회에서 우리는 그렇게 서로의 영혼을 파괴시키고 있으며 동시에 파괴당하고 있다. 저자는 에필로그까지 관통하며 그 파잔을 그치는...
123 views0 comments


오브진
Feb 1, 20225 min read
독서력 - 무엇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오브진의 한줄평 : 꼰대력이 강력한 독서 찬양론 2022년 첫 도서로 ‘독서력’이란 책이 선정되어 기쁜 마음으로 이 책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책 읽기에 대한 책을 선정하신 운영진의 의도는 독서에 대한 효용성을 다시 한번 상기 시키고 새로운...
221 views4 comments


Linda Park
Jan 17, 20222 min read
기나긴 자아성찰의 끝은?
1919년에 출간한 책 치고는 매우 진보적인 사상들도 보여진다. 전체주의를 지양하며 개개인의 생각을 존중하고, 인간의 본성 중 선과 악을 모두 끌어안으라고 말한다. 특히 성생활을 죄악으로 취급하는 기독교의 교리를 적극 비난한다.
133 views2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