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한강의 <채식주의자>

Writer's picture: Theresa ShimTheresa Shim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는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된 독창적이고 충격적인 작품으로, 인간의 본질과 사회적 경계에 대해 깊은 질문을 던진다. 이야기는 영혜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되지만, 흥미롭게도 그녀는 소설의 화자가 아니다. 대신, 그녀와 연관된 사람들이 화자가 되어 영혜를 관찰하고 해석한다. 이러한 시점의 전환은 독자에게 영혜를 직접 이해하려는 시도보다는 그녀를 둘러싼 세계와의 관계를 통해 그녀를 조망하게 만든다.


1부: 평범함의 균열

1부의 화자는 영혜의 남편이다. 그는 영혜를 "특별하지 않은 평범한 아내"로 생각하며 그녀의 채식 선언에 당혹감을 느낀다. 그녀의 행동이 그의 일상을 무너뜨린다고 여기면서도, 독자는 남편의 시선 너머로 영혜의 내면을 엿볼 수 있다. "브래지어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무심한 묘사는 그녀가 오래전부터 사회의 규범에 조용히 반항해왔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가정폭력으로 얼룩진 과거와 그녀의 꿈은 채식이라는 형태로 그녀의 억눌린 저항이 표출되었음을 시사한다.


2부: 본능과 예술의 충돌

2부는 작품의 정점이자 가장 읽기 어려운 부분이었다. 화자인 영혜의 형부는 예술가로서 도덕적 경계를 끊임없이 넘나들며, 자신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 속에서 갈등한다. 그는 영혜의 본능적 움직임과 사상에 매혹되어 사회적 규범과 예술적 이상, 그리고 동물적인 욕구 사이에서 끊임없이 싸운다. 그의 내적 혼란은 독자에게도 그대로 전해져, 글을 읽는 내내 숨을 고르며 책을 덮게 만드는 순간들이 있었다.


3부: 자연으로의 회귀

마지막 장은 영혜의 언니가 화자로 등장한다. 그녀는 영혜를 이해하려 노력하지만, 이성적으로 사고하는 사회적 인간으로서 영혜의 행동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한다. 영혜는 꿈과 채식을 통해 점차 인간적인 속성을 거부하고 자연으로 돌아가려 한다. "다음 생엔 나무로 태어나고 싶다"는 그녀의 말은 단순한 바람 이상의 의미를 내포한다. 그것은 억압된 현실 속에서 자연과 하나가 되고자 하는 절박한 염원이자 인간 존재 자체를 거부하는 선언처럼 느껴진다.


자연과 인간성의 대립

소설은 자연과 인간성, 그리고 사회적 규범의 대조를 통해 독자에게 강렬한 질문을 던진다. 채식이라는 행위는 온화하고 순종적인 자연의 상징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육식, 폭력, 성적 본능과 같은 원초적 요소들과 대조되며 기묘하고 충격적인 방식으로 표현된다. 영혜의 선택과 주변 인물들의 반응은 인간이 무엇을 자연스럽다고 정의할 수 있는지, 과연 우리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는지를 묻게 한다.


결론

채식주의자는 단순히 한 개인의 이야기라기보다는 인간성과 자연, 사회적 경계와 본능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는 작품이다. 영혜는 사회가 규정한 언어와 규범의 틀을 넘어 자연과의 일체를 꿈꾼다. 그녀의 여정은 비극적이면서도 아름다우며, 독자에게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깊은 사유를 남긴다.

40 views1 comment

Recent Posts

See All

Wonder

1 Comment


저는 '브래지어를 좋아하지 않는다'란 영혜의 말과 가장 폭력적이지 않는 본인의 신체부위가 '가슴'이라고 말한 부분에 더 집중되더라고요. 폭력을 가하지 않는 유일한 신체 부위를 브래지어라는 것으로 억압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싶었어요. 가정 폭력에 억눌여 자란 본인에게는 '육식'으로 대변되는 폭력이 성인이 된 현재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진화했고요. 실상 가족들 모두가 어떻게든 '육식=폭력'을 행하였죠. 그래서, '브래지어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형태로서 본인의 비폭력 지향성을 노출하기 시작했다 봅니다. 즉, 본인의 가장 비폭력적인 신체에게 자유를 줌으로써 성인이된 자신에게 비폭력의 한 자락을 내어준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결국 '답답하다'라는 말로 어디서든 브래지어를 벗어버리게 된거죠.

비폭력적 신체 부위는 다른 부위들과 다르게 빼앗음이 없기에, 가장 비슷한 존재인 나무가 되고 싶다고 생각한다 이해했습니다. 누구의 폭력도 없이 오롯이 항상 그대로인 상태로 살고 싶은거죠. 그만큼 큰 상처를 '가슴'에 품고 살았을 것으로 보였습니다.

마지막.... 참새의…

Like
  • Facebook

We create a place to
read, write, talk, and think!

 

Cyber Seowon Foundation

admin@cyberseowon.com

A 501(c)(3) with Tax ID: 87-1990819

©2020 by Cyber Seowon Foundation

bottom of page